티스토리 뷰
Runnable, Comparator 등 코드블록을 캡슐화하는 많은 기존 인터페이스들이 있다.
자바8의 람다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들과 호환된다.
이런 단일 추상메소드를 가진 인터페이스의 객체를 기대할 때 람다표현식을 사용가능하다.
이런 인터페이스를 함수형 인터페이스(Functional Interface) 라고 한다.
ex) Array.sort(word, (first, second)->Integer.compare(first.length(), first.length());
다른 언어에서는 (String, String)->int 같은 함수타입 변수를 선언해서 사용하지만 자바에서는
새로운 함수타입을 추가하기 보다는 기존의 인터페이스라는 개념을 활용하고 있다.
자바는 java.util.function 패키지에 다수의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있다.
그 중 BiFunction<T, U, R> 인터페이스는 파라미터 타입이 T, U 이고, 리턴 타입이 R인 함수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이다.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람다를 이 타입변수에 저장할 수 있다.
BiFunction<String, String, Integer> bi = (first, second)->
Integer.compare(first.length(), second.length();
★ 함수형 인터페이스에는 @FunctionalInterface 라는 어노테이션을 붙일 수 있다.
이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컴파일러에서 추상메소드를 갖춘 인터페이스인지 검사하고,
javadoc 페이지에서 해당 인터페이스가 함수형 인터페이스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.
★ 코드블록에서 Exception이 발생할 때 구현하려는 코드가 throws 할 수 없을 때도 있으니
주의하도록 하자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. 변수 유효범위 (0) | 2015.03.29 |
---|---|
5. 생성자 레퍼런스 (0) | 2015.03.29 |
4. 메소드 레퍼런스 (0) | 2015.03.29 |
2. 람다 표현식 (0) | 2015.03.29 |
1. 왜 람다 인가? (0) | 2015.03.29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성능개선
- javascript
- react
- 클로저
- 코어
- 메모리
- 자바 성능
- 성능
- Jackson
- 람다
- gitlab
- Java8
- json
- Clojure
- rambda
- Swift 2.0
- 자바
- Docker
- 날짜
- 리액트
- Stream
- 컴퓨터 시간
- opensource
- 알람
- 퍼포먼스
- 시간
- RAMDA
- Java
- 자료구조
- 프로세서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